개통 한 달 맞은 대경선, 대구와 경북을 하나로!
2025-01-15
대구광역시가 비수도권 최초로 광역철도로 건설한 대경선이 개통 한 달여 만에 이용객이 총 87만 2천 명을 넘어섰다. 특히 개통 초기 운행 관련 장애가 없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갖는다.〈대경선〉대경선 개통 한 달 수송현황은 지난해 12월 14일(토) 개통 이후 1월 13일(월)까지 총 ...
첨단 제조창업의 메카 ‘대구그린스타트업타운’ 착공
2025-01-15
대구광역시는 2026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북구 제3산업단지 내 구(舊) 삼영초등학교 부지에 ‘대구그린스타트업타운’ 조성 공사를 착공했다.〈대구그린스타트업타운 조감도〉그린스타트업타운은 첨단기술 제조창업의 활성화를 위해 R&D 지원시설 및 장비구축, 기관 연...
밤에도 안전한 신천, LED가로등 설치로 밝아진다
2025-01-14
대구광역시는 신천 도심 구간에 추진 중인 LED 가로등 설치 사업 중 1단계 좌안(상동교~수성교), 우안(수성교~동신교) 구간을 지난해 12월 말 완료했고, 2, 3단계도 신속 추진하여 올해 말 완료할 예정이다.〈신천 LED 가로등 설치〉신천은 도심 속 휴식과 운동 공간, 산책로 등으로...
‘대구미술관 제2의 도약, 부속동 개관’ - ‘보이는 수장고’, ‘소장품 상설 전시’, ‘교육실’ 등 선보여
2025-01-13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미술관(관장 노중기)은 1월 14일(화) 부속동을 개관하고, 소장품 하이라이트 ‘계속 변화한다, 모든 것은 연결된다, 영원히 계속된다’와 상설전 ‘대구 근대회화 흐름’ 등 2개의 전시와 ‘보이는 수장고&rsq...
대구광역시, 인공지능 기술로 보행자 안전 지킨다
2025-01-09
대구광역시는 보행자 안전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횡단보도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스마트횡단보도 개념도〉〈스마트횡단보도 설치현장〉스마트횡단보도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 양 끝단에 인공지능 기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보행자를 자동 감지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경고...
대구광역시,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사업 본격 시행
2025-01-06
대구광역시는 발달장애인의 보호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24시간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사업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이 서비스는 2023년 6월부터 지난해까지 보건복지부 시범사업으로 운영됐으며, 올해 본사업으로 전환돼 운영된다. 현재 동구에 ‘대구광역시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센터’가 가정과 같은 생활 환경으로 설치돼 긴급돌봄서비스를 제공하...
대구 상권의 중심 동성로, 도심공간 구조개편으로 젊고 활력이 넘치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탈바꿈!
2024-12-30
대구광역시는 대구 도심의 최대 번화가인 동성로의 옛 명성과 도심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동성로 일대를 문화, 축제, 먹거리, 쇼핑 등 젊은이와 관광객이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젊고 활력이 넘치는 대구의 대표거리로 탈바꿈시킨다.〈동성로 젊음의 거리 조성 가로기본구상(안)〉이 사업은 동성로 르...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성서3공영주차장 신규 개장으로 주차난 완화
2024-12-27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이사장 문기봉)은 성서산업단지의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장동공원 인근(달서구 장동 210-2번지)에 성서3공영주차장을 2025년 1월 1일 개장한다고 밝혔다.〈성서3공영주차장〉□ 이번에 개장하는 성서3공영주차장은 총 78면 규모로, 산업단지 내 주차 수요에 적극적으로 ...
대구광역시, 포정동에 동성로 관광안내소 이전·운영!
2024-12-26
대구광역시는 동성로 관광안내소를 포정동으로 이전하여 오는 12월 26일(목)부터 본격 운영한다. 〈동성로 관광안내소〉2020년부터 구(舊)중앙파출소 자리에서 운영하여 오던 동성로 관광안내소를 임차기간 만료와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포함 등으로 기 확보한 포정동으로 이전해 본격 운영하...
대구광역시, 도시재생사업 3곳 선정,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2024-12-23
대구광역시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4년 하반기 도시재생 공모사업에 중구 남산동과 달서구 상인동, 달성군 현풍읍 등 총 3곳의 사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선정사업 개요 및 사업계획도〉이번에 선정된 3개 사업에는 2029년까지 총 731.51억 원을 투입해 쇠퇴지역 활성화와 주거복지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