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컨텐츠
주택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방안 머리 맞댄다
대구시 홈페이지 게시판 글쓰기

  대구지역 도시정비사업 활성화에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대구시는 3월 27일 현대건설(주), 삼성물산(주) 등 외지대형 건설업체 16개 사와 화성산업(주) 등 지역 건설업체 4개 시공사를 초청, 주택시장 위축으로 사업 추진이 부진한 주택 재건축·재개발 사업 등 정비사업 활성화의 다각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 시공사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함께 해결 방안과 제도 개선 내용을 토론하게 된다. 또 중소형 아파트 공급 확대로 주택시장 안정화와 노후·불량주택 밀집 지역의 주거환경 개선에 참여를 촉구할 계획이다.

 

 - 대구시는 3~4년 후에는 중소형 아파트 공급 부족이 심각하다는 설명과 함께 대구광역시 주택종합계획에 따라 2017년까지 공급할 주택 5만 2천 호 건설을 위해 조속한 정비사업 참여로 주택공급 사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대형 건설업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한다.

 

○ 대구시 미분양 주택은 2010년 말 대비 48.2%(6,356세대)가 감소하는 등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다. 일반주거지역 가운데 불합리한 지역 종정비,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 이하) 정비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을 통한 일반주거지역 종상향 가능 등 주택건설 사업 여건이 크게 개선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 대구시 정명섭 도시주택국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지역 정비사업 활성화와 중소형 아파트 공급 확대로 주택시장 안정과 노후·불량주택 밀집지역의 주거 환경개선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와 시차원에서도 도시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도록 함께 힘을 합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첨부파일
제1유형:출처표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시정소식
2012-03-26
조회수 : 조회수 : 1,648
담당부서
도시재생과
전화번호
803-4701
담당자
김상연
맨위로